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이 때 조건은 직각을
낀 두 개의 변의 길이가 1로써 같으면 안된다는 것. 이는 둘과 셋은
하나(1)가 될 수 없으며, 또한 같지도 않다는 것으로 해석을 할 수 있다.
그렇게 되면 하나(1)를 볼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. 간단히
요약하면 이 三才란 3개의 변으로 구성된 삼각형이지만, 그 3개의 변이
달라야 한다는 것이 바로 三才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. 이를 왼손의
엄지손가락을 가지고 설명을 하면 바로 신지 사슴글로 된 하나님말씀에서
적힌 대로다. |
||||||||||||||||||
이 3才가 중요한 것은 넷 다섯 여섯을 파트너로 삼아
일곱 여덟 아홉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우주만물의 생성변화를 주도한다는
것이다. 그래서 물리, 화학 생물에서 셋과 관련된 존재가 많이 나타나게
되는 이유가 되는지도 모른다. 모든 철학과 종교의 기초 위에는 이 三才에
대한 이해가 없으면 모든 것이 모래성에 지나지 않게 된다. 실제로 동양철학의
음양론의 중심에는 바로 이 三才가 있다는 것은 말하면 잔소리가 된다.
3才가 없는 음양론은 허수아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이 3才는
중요하다는 이야기다. 그런데도 어찌 된 일인지 이三才를 빼먹고 음양론을
논한다. 그래서 동양철학이라는 것이 맨날 사주나 보고 점이나 치는데
쓰이는지도 모른다. 그래서 |
||||||||||||||||||
2012년 12월 23일 작성 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
|